My Space

2021. 3. 7. 23:23
반응형

git 조회

리눅스에서 $ git --version을 입력하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버전이 조회가된다.

 

git 설치(Linux-centos)

$ yum install git

git 삭제(Linux-centos)

$ yum remove git

 

git 설치(mac-os)

homebrew설치 후

$ brew install git

 

참고링크

https://suwoni-codelab.com/linux/2017/06/02/Linux-CentOS-git-gitlab/

 

git 사용

git의 명령은 대부분 git다음에 add, config, commit 등을 해주면 된다.

$ git config --list               // git에 설정되어 있는 목록이 나온다.

$ git config --global -e       // git의 설정을 변경한다.

 

git에 이름과 이메일을 추가하려면

$ git config --global user.name "Tstory"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Tstory@tstory.com" 과 같이 해준다.

이름과 이메일을 조회하려면

$ git config user.name

$ git config user.email

 

기본적으로 git설정에선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에디터에서 저장할때 줄바꿈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깃 허브에서 볼때와 다를 수가 있어서 autocrlf 설정을 해준다. 

(윈도우OS는 true, 맥OS는 input)

 

git을 사용하기 위해선

해당 프로젝트 디렉토리로 가서 $ git init 를 해줘야한다.

$ git status로 git의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명령어를 간단하게 alias로 걸어 이용할 수 있다.

$ git config --global alias.st status       //git status를 git st로 사용 가능

$ git config --global -e                          //설정 내용 조회

 

git에서 추적을 원하지 않을때(커밋에서 제외하고 싶은 경우)

ex) 확장자가 .log인 파일들을 추적에서 제외하고 싶은 경우

$ vi .gitignore에서 *.log 를 넣어준다       //.gitignore 파일에 제외하고 싶은 파일을 입력

$ git status     //staging 할 목록을 보면 *.log는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Git WorkFlow

깃은 1. 소스를 working directory에서 보관을 하고있다가 어느정도 완료가 되었다하면

       2. staging area로 넘긴다.  staging area에서 검토후 문제가 없다 판단되면

       3. .git directory(repository)로 보관이된다.

a,b,c의 텍스트 파일을 만든뒤 git status를 확인해보면 git add를 해야할 파일이 있다고 나타(working directory 보관 상태)
a.txt 파일을 git add 명령어를 통해 커밋을 하고 status를 확인해보면 new file에 a.txt가 추가.(a.txt파일은 staging area로 옮겨진 상태)                commit할 준비가 되어있는 상태                                           

staging area에 있는 파일들을 커밋하려면

git commit -m "간략한 커밋메시지" 를 입력하면 staging area에 올라간 파일들이 최종적으로 커밋이 된다.

working directory와 staging area에 있는 모든 파일을 커밋하고 싶으면 -am 옵션을 준다.

-am 옵션은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에 있는 모든         파일들을 commit 한다.

여기까지가 로컬 저장소에 commit이고 원격 저장소에 올리고 싶을때는

$git pust -u origin master  명령어를 쳐주면 된다.

 

Git 실 사용

git remote add origin [저장소url]        //원격저장소 연결

git remote -v                                        //원격저장소 연결 확인

git remote remove [origin(저장소명)]  //원격저장소 연결 해제

 

git fetch [origin(저장소명)]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로컬로 가져오기전에 내용 확인

git pull                                          //원격 저장소의 변경사항을 로컬에도 병합

 

git branch [branch명]                //브런치 생성(초기는 master)

git checkout [branch명]           //브런치 변경

git checkout -b [branch명]      //브런치 생성 후 해당 브런치로 변경

git branch --set-upstream-to origin/[branch명]    //local과 remote 브런치 연결

 

git status                                    //상태 조회

git add [파일명]                  //staging로 이동

git rm --cached [파일명]   //staging에 담겨있는 것들 해제(add롤백)

 

git commit [파일명] -m "커밋문구"    //현재 브런치로 커밋

git commit -am "커밋문구"               //add하지 않은 항목도 다같이 바로 commit

 

- 최근커밋 되돌려서 저장소에 push

git reset HEAD~1                             //최근 커밋 되돌리기

git push -f origin [branch명]          //로컬내용 원격저장소에 강제push

 

- 로컬 수정사항 무시하고 저장소 소스 pull

git fetch --all

git reset --hard origin/[branch명]

 

git log                                        //커밋 로그 조회

git log --stat                            //커밋 로그 상세조회(파일목록)

 

develop 브런치 -> master로 병합

git checkout master                //master브런치로 변경

git merge develop                   //develop 내용을 로컬 master 브런치에 병합

원격 저장소에 올리려면 git push -u origin master

 

태그 생성 및 push

git tag <tag명> -m "문구"        //위치한 브런치의 현재 상태에 대한 로컬 태그 생성

git push origin tag-name     //태그 push

 

원격저장소 브런치 확인 및 가져오기

git remote update         //원격 저장소 갱신

git branch -r                  //원격 저장소의 브런치 리스트 확인

git branch -d dev         //원격 저장소 브런치와 동일 이름 로컬 브런치 삭제

git checkout -t origin/dev     //dev브런치를 가져오고 해당 브런치로 checkout

'Development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명령어(참고 링크)  (0) 2021.08.16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